더운 여름철에는 외부또는 실내에서 발생하여 벽체로 함입된 습기로 인하여 내측 차가운 면에 응축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런 경우가 생기더라도 외부까지 번지지 않고 기온 변화로 인한 벽체내부 환경 변화로 습기가 흩어져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 보이지 않는 벽체 내부에서는 부식이 진행되는 경우이다. 물론 겨울에는 실내 벽면에 생기게 된다. 겨울철 창문주변 , 문주변에 생기는 습기는 결로현상이다. 벽돌조나 콘크리트조, 목조, 스틸하우스,빔 골조등 건축유형에 관련없이 어디에서나 흔히 보이는 현상이다. 특히 이중창이 아닌경우에는 100%라 할만큼 발생하는 현상인데 심한 경우에는 창틀밑에 겨울내내 걸레를 받쳐놓아야하는 일도있다. 결로는 온도 와 습도의 관계 인데 상대습도가 100인점에 이르러 습도포화상태에 도달한 시점에서 차가운 물체의 표면을 만나면 응축되어 물방울로 변하는 현상이다(이슬처럼 보인다하여 이슬 맺힘이라 부르기도) 장마철 아주 고온 다습한 날씨에 냉동실 표면 외부에 "어쩌다가"이슬처럼 물이 맺히는경우가 있는데 이 "어쩌다가"의 경우가 바로 상대습도가 100인 상태(강에 물안개가 앉은 상태는 상대습도 100인 경우) 이다. 이 경우는 지붕내부나 벽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젖어나오거나 또는 주로 실내측 벽체 표면에 발생하여 구조물과 마감재를 손상시킨다. 실내측 결로를 막기 위해서는 꼼꼼하고 빈틈없는 단열작업이 해결책이고 벽체 내부 결로는 1.타이벡과 타이밥등 무지향성 섬유소로 만든 기능성 시트로 감싸고 2. 아울러 온도차를 줄일수 있도록 외단열 또는 내단열을 보강하여야 한다. 결로현상은 집을 짓는 사람이라면 흔히 겪는 현상인데 대체 이것이 왜 생기는지 완전하게 이해하기란 좀 난해하다. 이것은 공기와 물체의 온도차때문인데 어떤 기상 조건 , 어느정도의 온도차인경우 발생하는지를 알아야 그에 합당한 시공을 할것인데 유감스럽게도 자연현상은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되어 나타나지 않고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많은 변수를 가지고 수시로 변화한다. 이처럼 결로현상은 온도와 습도의 관계 - 즉 상대습도에따라 발생한다. 공기중의 수분은 온도가 낮아지면서 어느시점에가면 물방울 로 응축하게 되는데 이온도를 이슬점(=노점온도)라 칭한다 땅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다가 대기중의 찬 기운과 만나면( 노점온도까지 냉각이 되어 ) 공기중의 수증기가 물로변하고 비나 눈이 되는 것과같이 방안의 공기가 차가운 물체의 표면에 닿아 노점온도에 이르러 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추론컨데 방안 공기가 만약 물체의 표면과 유사한 온도로 차갑다면 물방울로 변하지 않을 것이다. 결로현상이 언제생기는가 즉 - 공기중의 수분이 이슬이 되느냐 안되느냐는 공기의 온도와 그 온도일때 함유한 수분의 량 에따라 달라진다 결로 현상이 생기는 "노점온도"를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공기중의 수분은 "기온과 상대습도"에 따라 그대로" 습기"상태이기도하고 수분으로 응축하여 "이슬"이 되기도 하는데, 상대습도가 100인점에 이르러 습도포화상태에 도달한 시점에서 차가운 물체의 표면을 만나면 응축되어 물방울로 변하는 온도이다(이슬처럼 보인다하여 이슬 맺힘이라 부르기도) 장마철 아주 고온 다습한 날씨에 냉동실 부분 케이스에 "어쩌다가"이슬처럼 물이 맺히는경우가 있는데 이 "어쩌다가"의 경우가 바로 상대습도가 100인 상태(강에 물안개가 앉은 상태는 상대습도 90이상인 경우) 이다. 정리하자면 상대습도가 100인상태=물 인것이다. 이것은 온도 와 습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함수관계 라 할수 있다. 일단 한번 조건이 형성되어 이슬맺힘이 시작되면 (고온 다습한 공기는 차가운 곳으로 모이는 특성상) 더욱 빠른 속도로 응축과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는 지붕내부나 벽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마감재로 젖어나오거나, 또는 실내측 마감재 표면에 발생하여 젖어들면서 구조재까지 손상시킨다. 1. 건축 당시부터 꼼꼼하고 빈틈없는 단열작업이 필요하고 2. 주기적인 환기 3. 습기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생활 패턴을 바꾼다. 4. 실내 공기를 표면에 가깝게 차갑게 만드는 것도 결로현상을 잡는 방법이긴하나 사람도 같이 땡땡 어는 단점이 있다. 5. 타이벡과 타이밥등 무지향성 섬유소로 만든 기능성 시트로 감싸고 6. 아울러 온도차를 줄일수 있도록 외단열 또는 내단열을 보강하여야 한다. 트러스로 구성된 지붕 내부에는 온도차가있다. Vetilation 구성상 처마 soffit 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찬공기이므로 처마 부위의 지붕 표면 온도는 차갑다 . 그리하여 눈 녹는 속도가 더디며 아울러 물받이가있다면 흘러 내리지 못하고 물받이에 걸려 쌓인 눈으로 더더욱 가속적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런 현상이 계속 반복되다보면 낮과 밤이 반복되면서 반쯤 녹은 눈이 처마 물받이 쪽에 누적되고 눈과 얼음의 중간상태로 댐과같은 형상으로 물을 가두게 된다. 이 물이 슁글등 마감재를 통과하여 쉬트이음매와 못질부위로 파고 들어 지붕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을 ice-dame 현상이라한다. 경량구조 공법이 보급된지 오래지 않아 우리나라 건축 기술자들은 아 이스 댐 현상의 개념이 부족하고(사실 뭔말인지 아예 이해가 안된다는 표정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목조건축이나 스틸하우스를 오래 했다는 사람들도 안다는 듯 고개만 끄덕일뿐 왜 그런 현상이 생기고 그게 왜 심각한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은듯 싶고. 사실 영하 20도와 영상을 반복하는 북미지역같은 날씨가 우리나라 에는 그리 흔치 않으나 이상기온으로 인한 폭설과 때아닌 겨울비가 내리기도하는 기상변화를 생각한다면 미리 대비해야할 일이다. 해결책으로는 1. 지붕의 표면에 외단열을 하여 온도차를 최소화 하여 예방할수 있다.(osb밑에 열반사+부피단열재 겸용시트 ) 2. 시트의 이음매는 못질을 하지말고(꼭 해야한다면 씰링할것) 물매 5/10 이하는 겹침 부위 150mm 이상으로 넓게 할것 3. 상습 폭설지역은 적정선에서 slope을 크게한다. 4. 실내환기구를 지붕내부로 직결하지 말것(절대 주의) 네이버 블로그 보기 원자료 주소 : http://www.homfree.com/kimyoungs77/?p=542 |
네이버 본점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기 위해서 여기도 하나 더 열었습니다. 로우 데이터를 여기를 중심으로 보관해보려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1년 12월 12일 월요일
[펌]결로의 원인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